카카오톡으로 홈페이지 url을 상대방에게 보낼때 이미지 또는 description, keyword는 수정해도 변경이 바로 되지 않습니다. OG(Open Graph) 캐시라고 불리는데요. 등으로 정의합니다. 이 때는 https://developers.kakao.com/tool/clear/og 에 로그인해 캐시 초기화를 해주면 간단히 해결됩니... Read more
자바스크립트는 ID, Class, Name, Tag의 요소를 선택해 조작이 가능합니다. document.getElement… 로 시작하는 명령어로 선택할 수 있는데 이 중 ID는 한 페이지에 하나씩 밖에 나오지 않으므로 getElementByID이며 나머지는 getElementsByClassName, getElementsByNa... Read more
css로 배경 속성을 변경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합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넣는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배경 컬러를 16진수로 표현합니다. 아래는 배경 컬러를 rgba로 변환하여 투명도를 주는 방식입니다. 그라디언트로 점차 변화하는 배경 컬러를 넣을 수 있습니다. liner-gradient : 일직선형 radial-gradient(ellip... Read more
유튜브 영상을 홈페이지에 넣으면 일반적으로 사이즈를 지정하게 됩니다. 반응형웹을 만들면서 모바일 사이즈일 경우 미디어쿼리를 이용해 사이즈를 강제 조정합니다. 하지만, 강제 조정하지 않고 비율에 맞춰 자동 조정이 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유튜브 뿐 아니라 iframe 관련 부분을 div, img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Read more
html을 학습하면서 id와 class 중 어떤 걸 여러번 써도 되는 건지 자꾸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id는 고유의 값으로 문자열 앞에 css에서는 ‘#’을 이용해 쓰며, 한 페이지 내에서 한 번만 사용합니다. anchor를 이용할 때 쓸 수도 있으며, 문서 내에 한번만 나오게 되는 부분에 쓸 수 있습니다. cl... Read more
html로 제작한 파일에서 내부의 이미지 또는 표 부분만 좌우 딱 맞게 출력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합격증이나 인증서를 출력할 때 자주 이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css를 조절해주지 않으면 위에는 문서이름이 나오고 좌우 불필요한 여백이 생기는 등 엉망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스타일 시트 내에 프린트 할 필요 없는 부분은 displa... Read more
단순 텍스트만 보이는 html을 예쁘게 꾸미기 위해서는 스타일시트(css)를 적용해줘야 합니다. 인라인 css간편하게 태그 내에 스타일 시트를 삽입합니다. 내부 css여러 줄의 스타일 시트를 한 개의 페이지 내에 한정해 적용될 수 있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외부 css외부 문서를 연결하는 <link /> 태그를 이용해 html에... Read more
html 태그는 컨텐츠를 감싸주기 위해 시작과 끝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html>로 태그를 시작하면 </html>로 태그를 닫아줘야 합니다. 아래는 html의 기본 세팅값입니다. <html>은 </html>로 닫고<head>는 </head>로 닫고<body>는... Read more